반응형
DSR(Debt Service Ratio)
DSR은 차주의 연 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금융당국이 2021년부터 단계적으로 강화해 적용 중이다.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할부 등 모든 금융부채를 포함하기 때문에 개인의 상환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DSR 규제가 강화되면 고소득자가 아니면 대출 여력이 줄어든다.
핵심 포인트
- 계산 방식
- DSR(%) = (연간 모든 대출 상환액 / 연간 소득) × 100
- 예: 연소득 5,000만 원, 연간 상환액(원리금) 2,000만 원이면 DSR=40%
- 대출 규제 수단
- 정부·금융기관은 DSR이 일정 기준(예: 40%~60%)을 초과하면 대출 한도 축소 등 리스크 통제
- 다주택자·고소득자, 청년·무주택자 등 특수 그룹에는 일부 완화나 추가 규정이 있을 수 있음
- 가계부채 관리
- LTV·DTI와 달리, DSR은 모든 대출(주담대+신용대출+카드론 등) 원리금을 통합 반영
- 가계부채 급증 문제 대응 시, DSR 규제가 더 직접적 효과
관련 용어
주택담보대출, DTI, LTV
반응형
'기초 개념 & 용어 정리 >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 용도지역이란? 토지 활용 가치를 결정하는 기준 (0) | 2025.02.22 |
---|---|
LTV(Loan To Value)이란? 대출 한도를 결정하는 부동산 금융 지표 (0) | 2025.02.22 |
DTI(Debt To Income)이란? 소득 대비 부채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0) | 2025.02.22 |
증여세란? 자산 이전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 (0) | 2025.02.22 |
양도소득세(양도세)란? 부동산·주식 매매 시 발생하는 세금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