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카고 PMI(Chicago PMI)
시카고 PMI는 시카고 공급관리협회(ISM-Chicago)가 매월 발표하는 지표로, 시카고 지역의 제조업과 일부 서비스업 활동을 종합적으로 반영한다.
구매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신규주문, 생산, 재고, 고용 등을 조사하며,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 50 미만이면 위축을 의미한다. 전국 단위 ISM 제조업 PMI보다 앞서 발표되어 선행 신호로 활용되기도 한다.
간단 예시
시카고 PMI가 50 아래로 떨어지면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위축 국면에 있다는 의미로, 투자자들은 전국 ISM 지표도 부진할 것으로 예상하며 선제적으로 매도에 나서 증시 전반이 흔들린다.
관련 용어
ISM Manufacturing Index, Philly Fed Manufacturing Index, Nonfarm Payrolls, Retail Sales, CPI, PCE, FOMC, 연준(Fed), 금리인상
반응형
'기초 개념 & 용어 정리 >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장 주문(Factory Orders)이란? 경기 선행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 (0) | 2025.01.20 |
---|---|
내구재 주문(Durable Goods Orders)이란?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소비 투자 지표 (0) | 2025.01.20 |
뉴욕 연준 제조업지수(Empire State Index)란? 제조업 경기의 바로미터 (0) | 2025.01.20 |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란? 지역 제조업 경기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 (0) | 2025.01.20 |
JOLTS(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란? 미국 노동시장 흐름을 나타내는 지표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