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채(社債, Corporate Bond)
사채는 개인이나 비공식 금융기관이 법정 은행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직접 빌려주는 고금리 대출을 뜻한다.
금융감독 규제를 받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받는 대출 형태로, 급전이 필요한 개인이나 기업이 이용한다. 대부업법에 따라 합법적 사채업도 존재하지만, 불법 고리사채 문제도 빈번하다.
간단 예시
갑작스러운 자금난에 시중은행 대출이 막힌 개인이 사채를 이용할 경우, 이자는 법정 최고금리(연 20% 수준)까지 부담해야 해 장기적으로 채무불이행 위험이 커질 수 있다.
관련 용어
회사채, 국채, 전환 사채, 신주인수권부 사채, 채권 이자율, 신용 등급, 채권 시장, 채권형 펀드, 채권 ETF, 채권 리스크
반응형
'기초 개념 & 용어 정리 >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란? 미국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핵심 기구 (0) | 2025.01.18 |
---|---|
전환사채란? 일정 조건에 따라 주식으로 전환 가능한 채권 (0) | 2025.01.05 |
다우존스(Dow Jones)란? 전통 산업을 대표하는 미국 주가지수 (0) | 2025.01.05 |
나스닥(Nasdaq)이란? 기술주 중심의 미국 증권거래소 (0) | 2025.01.05 |
S&P500이란? 미국 대표 주식시장 지수 (0)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