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개념 & 용어 정리/용어사전

DTI(Debt To Income)이란? 소득 대비 부채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금융 사서 2025. 2. 22. 23:27
반응형

DTI(Debt To Income)

  DTI는 차주의 연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2000년대 중반 부동산 과열기에 도입되었으며, 주로 주택담보대출만 반영해 산출한다. 하지만 주담대 이외의 대출은 고려하지 않아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DSR이 더 핵심 지표로 쓰이고 있다.


핵심 포인트

  1. 개념 및 계산
    •      DTI(%) = (연간 부채 이자상환액 / 연간 소득) × 100
    •      일부 은행/제도에서는 원금 일부까지 반영해 DTI를 변형 적용하기도 함(엄밀한 기준은 기관마다 다를 수 있음)
  2. 주택담보대출 제한
    •      LTV·DSR과 함께 DTI를 관리 지표로 사용, 부채 과다 여부 판단
    •      DTI가 높으면 월 이자 부담이 소득 대비 과도해 추가 대출 한도가 줄어듦
  3. DSR과 차이점
    •      DSR은 원금+이자 전체를 반영, DTI는 주로 이자 중심(혹은 부분 원금) 계산
    •      최근에는 DTI보다 DSR을 더 중요한 지표로 쓰는 추세

관련 용어

  주택담보대출, LTV, DS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