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개념 & 용어 정리/용어사전

DSR(Debt Service Ratio)이란? 가계부채 건전성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

금융 사서 2025. 2. 22. 23:29
반응형

DSR(Debt Service Ratio)

  DSR은 차주의 연 소득 대비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금융당국이 2021년부터 단계적으로 강화해 적용 중이다.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 자동차할부 등 모든 금융부채를 포함하기 때문에 개인의 상환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DSR 규제가 강화되면 고소득자가 아니면 대출 여력이 줄어든다.


핵심 포인트

  1. 계산 방식
    •      DSR(%) = (연간 모든 대출 상환액 / 연간 소득) × 100
    •      예: 연소득 5,000만 원, 연간 상환액(원리금) 2,000만 원이면 DSR=40%
  2. 대출 규제 수단
    •      정부·금융기관은 DSR이 일정 기준(예: 40%~60%)을 초과하면 대출 한도 축소 등 리스크 통제
    •      다주택자·고소득자, 청년·무주택자 등 특수 그룹에는 일부 완화나 추가 규정이 있을 수 있음
  3. 가계부채 관리 
    •      LTV·DTI와 달리, DSR은 모든 대출(주담대+신용대출+카드론 등) 원리금을 통합 반영
    •      가계부채 급증 문제 대응 시, DSR 규제가 더 직접적 효과

관련 용어

  주택담보대출, DTI, LTV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