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개념 & 용어 정리/용어사전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란? 가장 흔한 주택 금융 수단
금융 사서
2025. 2. 22. 23:37
반응형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주택담보대출은 주택을 담보로 제공하고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일정 금액을 빌려 원리금을 상환하는 대출이다.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이 제공하며, 대출 한도는 담보 주택의 가치와 차주의 상환 능력에 따라 정해진다. 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과 가계부채 관리 차원에서 LTV(주택담보인정비율), DTI·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적용해 대출 규모를 제한한다. 주담대는 주택 구매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금융 수단이지만, 금리 수준과 규제 변화에 따라 차주의 부담이 크게 달라진다.
핵심 포인트
- 담보 설정
- 주택을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 대출 한도는 집 가치(감정가)의 일정 비율(LTV, Loan To Value)에 따라 결정
- 체납 시 금융기관이 주택을 경매로 넘길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함
- 금리 구조
- 고정금리(대출 기간 내 금리 동일) vs 변동금리(금리 시장 흐름에 따라 변동)
- 금리 환경(기준금리 인상·인하)에 따라 매달 상환액이 달라짐
- 상환 방식
-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만기일시상환 등 여러 방식. 각 방식마다 월 상환액·이자 부담이 다름
관련 용어
LTV, DSR, DTI,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만기일시상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