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개념 & 용어 정리/용어사전
전환사채란? 일정 조건에 따라 주식으로 전환 가능한 채권
금융 사서
2025. 1. 5. 23:44
반응형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전환사채는 일정 조건이 되면 발행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회사채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며, 투자자는 일정 기간 이자를 받다가 정해진 전환가액에 따라 주식으로 바꿀 수 있다. 발행 주체는 기업이고, 감독은 금융위원회 및 거래소가 담당한다. 기업 입장에서는 낮은 이율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채권의 안정성과 주식 전환에 따른 상승 가능성을 동시에 노릴 수 있다. 다만 주식 전환 시 기존 주주의 지분 희석이 발생할 수 있다.
간단 예시
A기업이 성장자금 확보를 위해 전환사채를 발행했는데, 이후 주가가 전환가액을 웃돌면 투자자는 채권을 주식으로 바꿔 차익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주가가 전환가액 밑으로 떨어지면 그냥 채권으로 이자를 받고 만기에 원금을 돌려받는 방식을 선택해 손실을 방어할 수 있다.
관련 용어
사채, 보통사채, 전환 옵션, 우선사채, 신용 등급, 채권 시장, 주식 투자, 인덱스 펀드, ETF, 배당금, 주가수익비율(PER), 주가순자산비율(PBR), 포트폴리오 다변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