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개념 & 용어 정리/용어사전

서브프라임 모기지(Subprime Mortgage)란?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한 원인

금융 사서 2025. 1. 21. 00:08
반응형

서브프라임 모기지(Subprime Mortgage)

  신용등급이 낮은 차입자(서브프라임)에게 제공된 고위험 주택담보대출을 말하며, 이 대출 부실이 2007~2008년 금융위기의 직접적 원인이 되었다.

  2000년대 초 미국에서 저금리와 부동산 가격 상승에 힘입어 신용도가 낮은 계층에게까지 확대된 주택담보대출로 확산되었다. 은행과 금융기관들은 이 대출을 기초자산으로 한 MBS(주택저당증권)와 CDO(부채담보부증권)를 만들어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판매했으나, 2006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대규모 부실이 발생했다. 2007년부터 금융기관의 손실이 본격화되었고,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위기가 정점에 달했다. 이 사태는 미국 경제를 심각한 침체로 몰아넣었으며, 글로벌 금융위기로 확산되었다.


간단 예시

  2005~2007년경 미국에서 신용등급 FICO 스코어가 낮은 대출자도 주택을 쉽게 구매(서브프라임 모기지) 가능. 집값 계속 오를 것이라는 낙관이 만연. 그러나 2007년 이후 금리 인상·집값 하락이 맞물려 대규모 연체 발생, 모기지 채권(MBS) 가치 폭락. 투자은행들이 파산 위기에 처해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했다.


관련 용어

  MBS(모기지담보증권), CDO(부채담보부증권), 금융위기, 신용등급, ARM(변동금리 모기지), FOMC, 인플레이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