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개념 & 용어 정리/용어사전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Government Shutdown)이란? 행정 마비 사태의 원인과 영향
금융 사서
2025. 1. 21. 00:07
반응형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Government Shutdown)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은 의회가 예산안이나 임시 지출법안을 통과시키지 못해 연방정부의 비필수 기능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사태를 말한다.
셧다운은 대통령과 의회의 예산 협상이 실패했을 때 발생하며, 국립공원·연방기관의 일부 운영이 중단되고 연방 공무원들이 무급휴직에 들어간다. 이는 1976년 제도 도입 이후 여러 차례 발생했으며, 특히 2018~2019년에는 트럼프 행정부와 의회 대립으로 역대 최장 35일간 셧다운이 이어졌다. 셧다운은 미국 정치의 양당 갈등을 보여주는 단면이자, 단기적으로는 행정 마비와 경제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간단 예시
2018년 말 미국 예산안 갈등으로 셧다운 우려가 커지자, 투자자들은 미국 국채 등 안전자산 비중을 확대. 실제 셧다운이 현실화되며 주식시장이 단기 급락, 국채금리가 하락. 이후 합의가 가까워지자 주가 반등. 이를 예상한 일부 투자자는 시나리오별 전략으로 수익을 창출했다.
관련 용어
연방정부 지출, 부채한도(Debt Ceiling), 정치적 리스크, FOMC, 금리 인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