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개념 & 용어 정리/용어사전

경상수지(Current Account)란? 한 나라의 대외 거래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

금융 사서 2025. 1. 21. 00:21
반응형

경상수지(Current Account)

  한 나라가 일정 기간 동안 해외와 주고받은 상품·서비스 거래, 투자 소득, 이전 소득을 합산한 국제수지의 주요 항목을 뜻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이 매월과 연 단위로 집계하여 발표하며, 해외와의 교역과 자본 흐름을 반영한다. 이는 국가 경제의 대외 건전성과 경쟁력을 파악하기 위해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며,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나타내는 무역수지, 해외 투자에서 발생하는 이자·배당 등을 포함한 소득수지, 그리고 송금·원조 등을 포함한 이전수지를 모두 합산해 계산된다.

  미국에서는 미 상무부 산하 경제분석국(Bureau of Economic Analysis, BEA)가 분기 단위로 발표한다. 미국은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경상수지 적자가 구조적으로 발생하는 편이며, 이는 글로벌 무역 불균형과 달러 기축통화 지위와도 연결된다.


간단 예시

  경상수지가 적자 전환되면 미국이 해외에서 더 많은 상품·서비스를 수입하고 있다는 뜻으로, 달러 약세가 나타나고 무역수지 적자 확대 우려가 커져 글로벌 투자자들이 미국 경제의 펀더멘털에 대해 불안감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흑자가 확대되면 수출 호조와 달러 강세 기대가 동시에 나타나며, 제조업·수출 기업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관련 용어

  무역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국제수지, 환율, 외환보유액, GDP

 

반응형